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 ㅣ 제6화 정성조사 FGD vs. In-Home Visit vs. 1:1 인터뷰

by 진정가추 2025. 6. 21.
반응형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은 '마케팅 리서치 현업 종사자' 또는 '마케팅 리서처를 꿈꾸는 독자'들에게 '마케팅 리서치 실무 관련 다양한 인사이트를 시리즈로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여섯번째로 '정성조사 FGD vs. In-Home Visit vs. 1:1 인터뷰'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정성조사(Qualitative Research)는 소비자의 니즈, 동기, 태도 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 조사 방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세 가지 정성조사 방식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D), In-Home Visit, 그리고 1:1 인터뷰(In-depth Interview)의 정의와 특성, 적용 상황을 비교해 보며 실무자들이 올바르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드립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Focus Group Interview) 정의

  •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6~8명의 응답자와 모더레이터가 한 공간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하는 집단심층면접 방식입니다.
  • 응답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가 유도되고, 서로의 반응에 자극을 받아 깊이 있는 논의가 가능해집니다.
  • 이 방식은 일반적으로 중립적인 장소에서 진행되며, 브랜드 콘셉트,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신제품 아이디어와 같은 초기 개발 단계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소비자 간 상호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진짜 생각’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In-Home Visit의 정의

  • In-Home Visit은 조사원이 소비자의 실제 거주 공간을 방문하여 제품 사용 상황을 현장에서 직접 관찰하며 인터뷰를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소비자가 어떻게, 어떤 환경에서 제품을 사용하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행동 기반의 인사이트를 얻기에 매우 적합합니다.
  • 이 방법은 주로 제품 사용 실태, 불편사항, 라이프스타일 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며, 응답자가 집이라는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보다 진솔하게 반응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조사원 입장에서 시간과 비용 소모가 크고, 스케줄 조율이 어렵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1:1 인터뷰 (In-depth Interview) 정의

  • 1:1 인터뷰는 단 한 명의 응답자와 모더레이터가 마주 앉아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는 방식으로, 다른 응답자들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개인의 심리와 동기를 깊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민감한 주제(예: 건강, 가족, 재정 등)를 다룰 때 가장 추천되는 방식입니다. 
  • 응답자가 혼자 있는 상황에서 보다 편안함을 느끼며 자유롭고 솔직하게 의견을 표현할 수 있고, 인터뷰어는 응답자의 말뿐 아니라 표정, 제스처, 반응의 뉘앙스까지 포착할 수 있어 정성조사 중 가장 깊이 있는 인사이트 도출이 가능합니다.

Focus Group Interview, In-Home Visit, 1:1 인터뷰 비교

  • Focus Group Interview, In-Home visit 그리고 1:1 인터뷰의 특징과 장점·단점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Focus Group Interview In-Home Visit 1:1 Interview
장소 일반적으로 미러룸이 되어 있는 시설 소비자 집 유연하게 조정 가능 (최근에는 온라인으로도 많이 함)
참여자수 6 ~8 명 1명 (가정방문) 1명
주요목적 아이디어 도출 및 Test Material에 대한 반응 탐색 실제 제품 사용 관찰 심층 심리 탐색 및 민감 주제
응답자간
상호작용
응답자간 상호자극이 많음 없음 없음
장점 다양한 의견, 비용 효율 실사용 환경 이해 깊이 있는 진정성 확보
단점 집단 압박 가능성 존재 시간 및 비용 부담 시간 소요 많고 피로감이 큼

 

마무리

정성조사에서 방법을 선택할 때는 조사의 목적, 대상자 특성, 주제의 민감도, 실행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FGD, In-Home Visit, 1:1 Interview는 각기 다른 상황에서 강력한 장점을 발휘하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하는 전략적 판단이 중요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정성조사 Research Request Proposal 작성 방법 및 실사 전 준비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케팅리서치는 고객 인사이트 발굴에 매우 중요한 툴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툴을 올바르게 사용할 때만이 우리는 보다 의미 있는 고객 인사이트를 발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결국 보다 나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다양한 마케팅 조사기법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그러한 조사 기법들로부터 나온 결과를 객관적으로 이해하려는 문화를 가질 때, 기업들의 데이터에 근거한 고객중심경영은 지속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많이 부족하지만,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이 여러분의 마케팅 리서치 또는 마케팅 관련 커리어를 발전시켜 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진심으로 기원해 봅니다

FGD, IN-HOME VISIT, 1:1 Interview 비교

 

함께 보면 좋을 콘텐츠 BEST 5

2025.06.16 - [마케팅] -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 ㅣ제1화 정량조사와 정성조사의 차이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 ㅣ제1화 정량조사와 정성조사의 차이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은 '마케팅 리서치 현업 종사자' 또는 '마케팅 리서처를 꿈꾸는 독자'들에게 '마케팅 리서치 실무 관련 다양한 인사이트를 시리즈로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trueinfo25.com

2025.06.17 - [마케팅] -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 l 제2화 정성조사 결과 의사결정 반영시 발생하는 오류들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 l 제2화 정성조사 결과 의사결정 반영시 발생하는 오류들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은 '마케팅 리서치 현업 종사자' 또는 '마케팅 리서처를 꿈꾸는 독자'들에게 '마케팅 리서치 실무 관련 다양한 인사이트를 시리즈로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trueinfo25.com

2025.06.18 - [마케팅] -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 l 제3화 어떤 경우에 정량조사, 어떤 경우에 정성조사?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 l 제3화 어떤 경우에 정량조사, 어떤 경우에 정성조사?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은 '마케팅 리서치 현업 종사자' 또는 '마케팅 리서처를 꿈꾸는 독자'들에게 '마케팅 리서치 실무 관련 다양한 인사이트를 시리즈로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trueinfo25.com

2025.06.19 - [마케팅] -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 l 제4화 정성조사의 정의, 특징 및 적용범위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 l 제4화 정성조사의 정의, 특징 및 적용범위

2025.06.13 - [마케팅] - AI 시대의 소비자 조사: 자동화 툴 활용법 A to Z'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은 '마케팅 리서치 현업 종사자' 또는 '마케팅 리서처를 꿈꾸는 독자'들에게 '마케팅 리서치 실무

trueinfo25.com

2025.06.20 - [마케팅] -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 l 제5화 정성조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 vs. 1:1 인터뷰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 l 제5화 정성조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 vs. 1:1 인터뷰

마케팅 리서치 실무 바이블'은 '마케팅 리서치 현업 종사자' 또는 '마케팅 리서처를 꿈꾸는 독자'들에게 '마케팅 리서치 실무 관련 다양한 인사이트를 시리즈로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trueinfo25.com

 

반응형